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에니어그램검사(Enneagram)

by 정보나누는 채채맘 2022. 1. 7.
반응형

 에니어그램(Enneagram) 검사의 기원은 고대 아프가니스탄에서 약 2500년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고 대력 10세기를 전후해서 이슬람교 신비주의 수피파에 의해 구전으로 전해져왔다고 한다. 서구 세계에 알려지게 된 것은 러시아계 모험가인 조지 이바노비치 구르지예프가 수피 성직자 단체를 통하여 검사의 상징을 알게 되면서 조금씩 알려지게 되었고, 이것이 미국과 유럽으로 전파된 것이다. 

에니어그램(Enneagram) 검사은 1950년대부터 정신과 의사인 오스카 이차조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그는 철학과 심리학, 종교, 과학 등에 능통한 사람이었다. 에니어그램(Enneagram)의 기본 원형을 만들어 아리카 시스템이란 교육훈련법을 체계화시켜서 가르쳤다. 

현재의 에니어그램(Enneagram) 은 심리학으로 깊이 해석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대부분이다. 각 성격유형을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그 특정한 느낌을 공유하는 방법으로 에니어그램(Enneagram)을 대중적으로 발전시켰다. 또한 돈 리차드리소는 각 유형의 발전 수준을 밝혀내어 성격 유형론적인 내용을 발전해나갔다. 

오늘날 리소와 허드슨은 에니어그램(Enneagram)을 객관적인 심리학적 해석을 통해 활용하고 있으며, 심리학 및 영성 모두에 초점을 두고 문화적 신뢰도를 고려한 한국형 검사지를 개발하고 보급했다. 또한 에니어그램(Enneagram) 은 상담뿐 아니라 종교적인 기독교의 지도, 세미나 및 기업의 인사관리 등 여러 분야에 활발히 보급하여 활동되고 있다. 

 

에니어그램(Enneagram)의 검사내용 구성 

에니어그램(Enneagram) 은 그리스어로 아홉의 의미를 갖는 에니어와 그림의 의미를 갖은 그라모스의 합성으로 도형, 선, 점이라는 아홉 개의 점이 있는 그림이라는 뜻을 의미한다. 사람의 성격을 9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단순히 획일화하는 것이 아니다. 9가지 유형의 문을 통해 자신의 내면과 역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일종의 성격 유형론이다.  에니어그램(Enneagram) 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를 보고해주는 도구인 셈이다.  

인간은 누구나 죽음을 두려워한다. 에니어그램(Enneagram)에서는 그러한 삶의 집착을 근본적인 욕망을 실현하는 데 있어 모두 다른 방식으로 해결을 시도하는 과정으로 본다. 나와 타인의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현실을 가감 없이 수용하도록 이끈다. 인간의 원하는 가치는 평화, 창조, 사랑, 진실, 완전함, 지혜, 신뢰, 행복, 순수성 등 아홉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치는 집착의 형태로 내재될 수 있다. 이러한 집착은 무의식 중에 삶의 에너지로 작용한다. 이때 삶을 헤쳐나갈 에너지의 원천으로 작용되기도 하며, 성격은 내면의 집착이 현실적으로 드러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에니어그램(Enneagram) 은 진정한 나를 찾는데 도움을 준다. 궁극적인 지혜를 통해 나 자신을 이해하도록 도우며, 나 자신과의 참만남을 통해 나와 타인이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해 줄 수 있다. 

 

에니어그램(Enneagram) 은 우주의 법치고가 인간 내면의 모든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첫째, 원은 우주를 상징한다. 기독교적 개념으로 보았을 때 하나님과 완전성을 상징한다. 일반적인 개념은 고대부터 인간이 꿈꾸어 온 이상향이 원만과 충만의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나와 자신, 자신과 타인 등 화합하여 원만하고 충만한 삶을 이루는 상태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원 안의 정삼각형은 균형감을 의미한다. 기독교적 개념에서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개념으로는 중심 잡힌 안정된 삶, 감정, 사고를 나타낸다.  셋째, 변형 육각형은 원 안에 정삼각형이 변마다 두 개의 포인트가 나오도록 되어있다. 이 여섯 개를 영어로 헥세이드라고 한다. 이 헥세이드의 기본 개념은 존재하는 모든 것은 하나의 흐름을 타고 변화, 순환을 거듭한다고 보는 것이다. 일반적인 개념은 생명의 변화를 상징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정제되어있지 않고 모든 존재는 변화하며 발전해 나간다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3요소(원, 삼각형, 변형 육각형)를 합치면 에니어그램(Enneagram)의 상징이 된다.  

 

에니어그램(Enneagram)  검사의 실시

에니어그램(Enneagram) 성격유형 검사지는 한국에니어그램협회(KEA)에서 제작한 한국형 에니어그램(Enneagram) 검사로 총 90개 문항(유형별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총 81개 문항(유형별 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는 간이 검사지가 있으며 에니어그램(Enneagram)  프로파일과 응답지가 있다. 검사과정은 평상시의 수검자 태도와 감정을 1~5점 척도의 응답지의 네모칸에 표기하도록 되어있다. 만약 제1단계 검사인 총 90개 문항으로 실시한 결과 점수가 같은 성격유형이 2개 이상 나오거나 점수 차이가 너무 적어서 성격을 구분하기 어려울 때는 제2단계로 정밀검사를 실시하여 판별하도록 한다. 제2단계의 검사는 유형별로 20문항씩 구성되어있다. 검사를 실시하고 계산하는 시간은 대력 30분 정도이며 정밀검사를 하게 되면 1시간 이상 소요된다.  

검사의 채점 기본 유형은 9개의 점수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수검자의 기본 유형이 된다. 기본 유형에 속해있는 중심이 수검자의 힘이 중심이 된다. 즉 9가지 유형중 하나로 기본 유형이 결정되기 전에 이론적으로 힘의 중심 이장, 가슴, 머리로 분류된다.  같은 점수가 있는 경우 서로 다른 힘의 중심 안에 최고 점수가 2개 이상인 경우, 힘의 중심의 합계를 내어 높은 중심 안에 있는 유형이 기본이 된다. 한 개의 힘의 중심 내에서 최고 점수가 두 개인 경우. 양쪽 날개 점수를 합산하고 날개의 합이 높은 쪽이 기본 유형이 되는 것이다. 날개는 기본 유형을 중심으로 양쪽 날개 중에 점수가 높은 쪽이 자신의 날개가 된다.  에니어그램(Enneagram)  검사의 해석은 9가지의 성격유형 및 해석이 있다. 1번 유형은 개혁가, 완벽주의자 2번 유형은 조력가와 돕고자 하는 자를 나타낸다. 3번 유형은 성취자와 성과 주의자, 4번 유형은 예술가와 개인주의자이다. 5번 유형은 탐구자와 관찰자 6번 유형은 충실한 사람, 7번 유형은 낙천가와 모험가이다. 8번 유형은 지도자 혹은 도전 주의자이며 마지막으로 9번 유형은 중재자, 평화주의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