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 질환으로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는 환자들 중에 가장 많은 병이 변비입니다. 변비라는 것은 장이 제대로 된 배변 활동을 못하는 것입니다. 아이들의 변비 즉, 소아의 변비는 성인 변비와는 다르게 90% 이상이 대부분 기저 질환 없이 그냥 생기는 기능성 변비입니다.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만성변비가 되어서야 병원을 뒤늦게 찾기 때문에 치료에 더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유아변비의 원인
변비는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 발생하는 병은 아닙니다. 서구화된 음식, 인스턴트 음식, 채소 과일의 섭취 감소 등 식습관의 문제도 있습니다. 변비는 변을 참고 있다가 배변통이 생기면서 시작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모유에서 분유로 갈아탈 때, 이유식을 먹기 시작할 때, 아이들이 유치원이나 학교 가면서 불편한 배변 환경에 노출이 처음 될 때 등 다양한 이유로 변을 참게 되면서 변비가 시작을 하게 됩니다.
유아의 변비는 악순환의 고리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변을 참기 시작하고 편히 배출되지 않기 시작되면서 장에 변이 차게 되면 직장이 늘어나게 됩니다. 오랜 시간 반복되면 감각 저하, 배변욕구가 감소, 배변 욕구가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수분 흡수가 되면 변이 커지고 딱딱해지기 게 되는데 그렇게 딱딱하고 커진 변을 배출하려고 하니 항문이 찢어진다던가 통증을 더 느낄 수도 있습니다. 통증을 느끼면 또다시 우리 아이들은 아프기 때문에 그 두려움으로 인해서 배변을 참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변비 악순환이 시작되게 되는 것이 소아변비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유아변비 진단
의학적으로 변비라고 진단 내릴 수 있는 기준은 4세 미만의 경우에는 한 달 이상, 4세 이상의 경우에는 두 달 이상 다음 증상 중에 두 가지 이상이 나타나면 변비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 배변의 횟수가 주 2회 이하이다
- 주 1회 이상 변을 지리거나 참는 행동이 있다
- 대변 양상이 단단해서 변기가 막힐 정도로 굵게 본다
- 배변 시 심한 통증을 느끼거나 직장 내 대변이 차 있다
우리 아이의 변비가 의심된다면 체크해보기
- 일주일에 몇 번 보는지
- 변을 볼 때 과도하게 힘을 주고 있는지
- 변비에 피가 묻어 나오는지
- 변이 나왔을 때 토끼 똥처럼 동글동글한지, 딱딱한지 등
정확하게 변비라고 진단이 내려지기 전이라도 아이들이 배변을 보면서 평상시보다 불편하거나 딱딱한 변을 본다면 바로 병원으로 내원하셔서 않는 게 좋습니다. 변이 단단하게 나오는 단순한 변비 증상 외에도 오랫동안 지속되는 두통이나 복통 역시 변비의 증상 일 수 있기 때문에 병원 내원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약 복용보다 유산균이나 과일, 수분 섭취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는데 그것은 실제적인 치료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는 부분입니다. 변비치료제는 장기간 사용해도 안전한 약물이 많으니 부담 없이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또 소아변비는 단기간에 해결되는 질환이 아닙니다. 악순환의 고기를 끊고 장 기능을 정상적으로 돌려놓으려면 짧게 먹이고 끊지 않아야 합니다. 최소 3개월에서 6개월 정도는 변비약을 장기간 꾸준하게 복용이 필요합니다. 담당 선생님과 꾸준히 진찰하면서 추적 관찰도 필요한 부분입니다.
급하게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
발열이나 갑작스럽게 진행되는 심한 구토, 혈변과 동반되는 변비, 복부팽만 등 증상은 바로 병원에 가야 합니다. 병원에서는 방사선학적 검사를 하게 될 것이고, 혈액학적 검사, 직장 내압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그 외에 대다수의 해당되는 기능성 변비의 경우에는 대부분 특별한 검사 없이 바로 약물적 치료에 들어가게 됩니다.
약물적 치료가 걱정스럽고 번거로워 기피하는 부모라면 다른 방법으로는 물 많이 하시기, 푸룬주스를 마시게 하는 등의 방법도 있습니다. 변비에 좋은 음식으로는 물과 푸룬주스 외에도 배, 껍질이 있는 과일을 껍질 채 먹는 것을 추천합니다. 껍질에는 펙틴이라는 단백질이 있기 때문에 배변활동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문화바우처 지원제도 (0) | 2022.04.13 |
---|---|
족욕의 효능과 주의사항 (0) | 2022.04.11 |
국가건강검진 기간 연장 안내 (0) | 2022.04.08 |
어금니가 시린 이유는 무엇일까요 (0) | 2022.04.08 |
싸이월드 아이디찾기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