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신경생물학 이론

by 정보나누는 채채맘 2022. 3. 4.
반응형

신경생물학 이론이란 무엇인가? 

심리학의 신경생물학 이론은 뇌와 마음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모든 심리적 작용이 뇌의 특정한 활동 패턴과 관련 있고 행동의 신경생물학적 기질을 이해하면 인간 심리에 대한 이해력을 높여줄 수 있다는 가정이 깔려있다. 최근 몇 년간 이루어진 놀라운 기술의 발달로 뇌의 작용과, 뇌와 작용의 관계를 연구하는 능력이 급격히 성장했다. 

 

신경심리학이란?

신경심리학은 뇌의 작용과 직접 연관 지을 수 없는 특정한 심리적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신경심리학의 창시자 알렉산더 루리아는 뇌 손상이 지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보기 위해서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뇌 손상을 입은 군인들을 연구했다. 현대 신경심리학 연구는 특정 뇌 활동 패턴과 관계있는 특정한 심리 기능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데 힘쓴다. 

 

뇌영상 기술은 심리학의 신경생물학 이론에 영향이 있을까?

몇십 년 전에는 살아있는 인간의 뇌를 관찰하는 일이 불가능했다. 그때는 사후 부검과 뇌 장애 환자들을 연구하는 것이 신경생물학을 연구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뇌 영상기술이 발달하면서 살아있는 인간 뇌의 스냅사진을 보는 것이 가능해졌다. 컴퓨터 단층 촬영 CT 스캔과 자기 공명 영상 MRI는 뇌의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사진을 제공한다. 양전자방출 단층촬영과(PET) 단일광자방출단층활영(SPECT) 스캔은 포도당 투여나 혈액 흐름 패턴의 기록을 통해 실제 뇌의 작용을 연구할 수 있게 해 준다. 최근 개발된 기능적 MRI는 뇌 활동 이미지를 단시간에 여러 차례 반복 촬영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뇌 활동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해 주었다. 뇌 영상 기술이 사진에서 동영상으로 발전했다. 피험자가 다양한 행동을 하는 동안 뇌를 스캔하는 것이 가능해져 방대한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신경생물학 이론은 진화심리학과 관련 있을까?

신경생물학 연구를 할 때 동물을 이용하는데 이것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윤리적 이유로 사람의 뇌보다는 동물의 뇌에 훨씬 공격적 연구를 감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물의 뇌에 대한 연구는 인간 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중요한 길잡이를 제시하기도 했지만, 또한 종에 따라 뇌가 다르게 작용한다는 점도 일깨워주었다. 다양한 동물의 뇌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사람의 뇌 진화과정을 어떻게 발달해왔는지 가정해 볼 수 있다. 복잡한 인지 기능과 관련 있는 전두엽은 지능이 높은 동물일수록 크고 주름이 많아 표면적이 더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지능이 점점 더 중요한 진화 전략이 되면서 인류의 진화를 통해 전두엽의 크기가 커졌음을 의미한다. 

 

인지과학이란?

인지과학은 진화심리학, 언어학, 전산학, 신경생물학의 도구를 이용하고 과학적인 관점에서 정신적 현상을 연구한다. 인지과학의 목적은 심리 작용과 뇌의 작용을 구현하는 복잡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인지과학자들은 기억, 언어, 의사결정, 학습 등 방대한 심리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이런 연구를 통해 놀라운 기술혁신이 이루어지고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와 로봇 공학의 발전도 해당된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0) 2022.03.05
애착이론이란?  (0) 2022.03.04
이상행동의 준거기준 및 분류체계  (0) 2022.02.21
분석심리학 이론  (0) 2022.02.14
정신분석이론가정 및 성격구조  (0)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