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구강건조증 제대로 알기

by 정보나누는 채채맘 2022. 6. 10.
반응형

구강건조증이란 무엇인가요?

구강건조증은 병이나 질환이라기보다는 복합적 원인에서 나오는 증상입니다. 성인이 평균 1~1.5L 침이 분비되는데 이보다 적게 침이 나오면 마르다고 느낍니다. 타액이 줄어들고 생활하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증상입니다. 입으로 숨을 쉬고 입 안에 수분이 증발하면 구강 건조를 느낄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의 원인

구강건조는 일시적과 만성적인 원인이 있습니다. 일시적인 원인은 약물치료의 부작용이 가장 많습니다. 감기약이나 다양한 고혈압제의 약물투여로 인해 타액을 분비하는 신경계에 자극이 일어나서 구강건조증이 생기게 됩니다. 

설사나 구토, 고열 등 몸안에 수분이 빠져나가게 되면 타액의 분비가 줄어드는 현상도 생깁니다. 

 

만성적인 요인으로는 선척적으로 타액에 이상을 타고난 경우가 있습니다. 영양결핍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타액선염은 만성적인 이유가 가장 큰 경우입니다. 당뇨와 비타민의 부족, 철결핍, 노화에 따른 구강의 건조 현상, 눈 건조 , 관절염의 3개 이상 증후군이 같이 발생하기도 하며 구강 내 조직의 통증이 생기면 작열감이 함께 동반되기도 합니다. 

 

구강 영역에 종양이 생기면 장기간 방사선 치료를 받게 되는데 이런 환자들은 타액선의 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해 타액의 분비가 줄어드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다양한 약물 복용과 신경계 질환으로도 구강 건조증은 발생합니다. 항암제 투여와 침샘 근처의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이 원인이기도 합니다.  수술이나 외상으로 타애선에 직접 손상이나 상처가 생기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스트레스와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문제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구강건조증의 증상

  • 구강 내 조직이 건조해진다
  • 타는듯한 작열감을 느낀다
  • 소화장애도 생길 수 있다
  •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
  • 치은염과 충지가 잘생긴다
  • 혀는 위축되는 변화나 갈라짐이 생긴다
  • 치아가 다발성 우식증을 발생한다
  • 치주질환이나 감염, 구취가 발생할 수 있다
  • 음식을 먹고 삼키기 어렵다
  • 음식의 맛을 구별하기 힘들다
  • 발음장애로 나타날 수도 있다 

 

 

구강건조증의 진단과 검사방법

침 분비가 분당 0.1m 이하이면 진단 가능합니다. 혈액검사와 종양의 침법을 평가하려면 CT를 통해서 검사하게 되는데, 정확한 진단을 타액선 스캔을 통해 가능합니다.

 

 

구강건조증의 치료방법

  • 병원에서 검사를 하고 원인을 찾도록 합니다 
  • 무설탕껌을 씹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신맛이 나는 캔디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구강건조증에 의한 충치예방을 위해 양치액 껌, 연고제 등을 사용합니다 
  • 비타민과 호르몬에 의한 경우 약물치료를 통해서도 개선 가능합니다
  • 증상이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계 통을 복용합니다 
  • 직접적인 치료는 필로카핀 브로모헥신 약제들을 사용하여 타액선을 자극합니다 
  • 타액분비를 촉진하는 약제는 병원에서 처방받고 사용 가능합니다 

 

구강건조증은 무엇보다 스스로 평소 생활관리가 중요합니다. 자주 수분을 섭취하고 꼼꼼하게 양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극적이거나 강한 음식을 피하고 술과 담배를 줄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면서 뜨겁고 건조한 곳에 오래 머무르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평소의 습관이 구강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부비만 대사증후군 의심  (0) 2022.06.13
만성중이염  (0) 2022.06.13
남성갱년기 자가진단법  (0) 2022.06.09
아스피린 복용 주의사항  (0) 2022.06.09
영양제 복용시간 제대로 알기  (0) 2022.05.31